이직노트/건축사시험

건축사자격시험 - 01 결심하기

BESTONE 2021. 7. 12. 00:56
반응형

2020년 04월
실무수련을 딱 3년 하고도 두달 채운 시점.
저는 건축사자격시험을 보기로 결심합니다.

“늦게시작하면
머리돌아가는 속도도 체력도 떨어지지만
무엇보다 시간이없다”
는 조언으로, 1년을 땡겨 준비를 결심합니다.

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인 건축사자격증을
따기로 결심한 이유는
01
모든사람이 따고싶다고 딸수 있는게 아니다.
자격요건이 되는 내가 시험을 볼 기회조차 선택안할 이유는?없다.
02
내가 앞으로 어떤길을 갈 것인가?
아무도모른다. 준비해서 나쁠게 없다.
입니다.
(그땐 몰랐죠 이렇게 합격이 기쁠줄이야)


약 9개월동안 풀고 또보고 했던 문제들


그렇다면 내가 딸 수 있는 자격요건이 무엇일까요

자격요건은
대한 건축사 협회
행정위탁업무 > 건축사시험관리 에서 확인가능합니다.
https://www.kira.or.kr/

대한건축사협회

www.kira.or.kr

건축사자격시험 응시 자격 요건

저의경우에는 인증 5년제 건축학과 졸업 , 실무수련 3년이상 요건을 충족하였습니다

그렇다면
실무수련은 어디서 진행할까요.
그것은 건축사등록원 입니다.
https://www.kirakarb.or.kr

건축사등록업무 온라인시스템

www.kirakarb.or.kr


건축사무소 입사하신 신입사원분들!!!
특히 처음에 등록을 무엇을 해야하는지 헷갈리는데요.
제가 경험한 바에 의하면
건축사 등록원에서 실무수련
만 먼저 하시면 됩니다!!
경력신고? 이런건 나중에 하셔도 충!분!
(심지어 저도 아직 안했어요)


건축사등록원에서 실무수련 신고하기

신고서작성을 해주시고,
등록 수수료는 10만원,
첨부서류는
-건축학학위과정 이수증명서
-4대보험 중 근무사실이 확인되는 증명서
-병적증명서(해당자)
-사진
입니다.

실무수련은 작성하신 감독건축사가 확인을 해주시면 바로 시작!

첫 등록이후에는
수련완료 전에
실무수련확인서를 써주세요!

실무수련일은 골고루


참여 사업은 여러개 가능하다.

실무수련일 이수일은
설계 365일, 공사관리 80일, 기타 20일
최소 수련일맞춰 골고루 작성해주세요~
(최소 수련일만 충족하면 빈칸이 있어도 괜찮아요)

저는 3년이 지나고 한번에 작성해주었는데
중간중간 작성하시는 분들도 있더라구요!

이렇게 건축사시험생활을 할
마음의준비와
자격준비를 완료!하게됩니다.


반응형